국민 27세부터 ‘흑자’…43세 정점 61세부터는 ‘적자’_오늘 길드가 이겼어_krvip

국민 27세부터 ‘흑자’…43세 정점 61세부터는 ‘적자’_독일과 스페인에 베팅_krvip

우리나라 국민은 27세에 소비보다 소득이 높아지는 흑자에 진입한 뒤, 43세에 흑자 정점을 찍고 61세부터는 소비가 더 많은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은 오늘(29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0년 국민 이전계정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국민 이전계정은 연령별 노동소득과 소비, 연금 등 공적 이전, 가구 내·가구 간 사적 이전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재정 부담이 세대별로 어떻게 재분배되는지 보여줍니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생애주기를 보면 0세부터 26세까지 소득보다 소비가 많은 적자 상태가 이어집니다. 16세 때 3,370만 원으로 가장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합니다.

27세부터 소득이 더 많은 흑자에 진입하는데 1인당 노동소득이 가장 많은 건 42세로 3,725만 원입니다.

2010~2020년 연도별로 보면, 흑자 진입 연령은 27~28세로 일정하지만, 적자로 재진입하는 구간은 은퇴연령이 늦어지면서 2010년 56세에서 2020년 61세로 늦춰지고 있습니다.

세금과 연금 등 공공이전의 흐름을 살펴보면 15~64세 노동연령층은 160조 6,000억 원 순유출을 보였고, 유년층과 노년층은 각각 77조 9,000억 원, 82조 7,000억 원 순유입됐습니다.

노동연령층은 받는 돈보다 내는 돈이 더 많았고, 이 돈들이 유년층과 노년층에게 돌아갔다는 의미입니다.

상속, 증여 등 민간이전도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 유년층과 노년층에서 순유입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공이전과 민간이전, 공공·민간자산재배분을 통해 연령 간 재배분된 총량은 97조 4,70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020년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소비는 350조 1,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6.5% 증가했습니다. 특히, 노년층이 10.8%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공공소비 가운데 공공교육소비는 71조 1,68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7.4% 늘었습니다. 유년층이 50조 4,670억 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공공보건소비는 91조 9,97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4.7% 증가했습니다.

민간소비는 731조 7,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5.5% 감소했습니다. 유년층과 노동연령층은 감소한 가운데 노년층의 민간 소비만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통계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