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준비에 평균 25개월…귀농가구 40%는 교육 미이수_베 룰렛 결과 짤던_krvip

귀농귀촌 준비에 평균 25개월…귀농가구 40%는 교육 미이수_무료 자바 모바일 포커 게임_krvip

귀농·귀촌의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귀농가구의 40%는 관련 교육을 받지 않고 농촌으로 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 사이 전국 4천167개 귀농·귀촌 가구를 대상으로 귀농귀촌 실태를 조사한 결과, 귀농 준비에는 평균 25.1개월이 소요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귀농·귀촌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은 귀농가구의 경우 59.9%였고, 귀촌가구는 21.1%에 그쳤습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준비 기간은 짧았습니다.

귀농·귀촌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귀농가구의 27.3%, 귀촌가구의 41.7%가 정보 획득의 어려움을 꼽았습니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10가구 중 7~8가구는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농촌생활 경험이 있는 경우라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귀촌가구의 31.9%는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귀농 1년 차 가구소득은 평균 2,828만 원이었고, 귀농 후 5년 차에는 3,895만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귀농 전 평균 소득인 4,400만 원의 88.5% 수준입니다.

귀촌 1년 차 가구소득은 평균 3,279만 원이었으며, 귀촌 후 4년 차에는 4,058만 원으로 증가해 귀촌 전 소득인 4,038만 원을 넘어섰습니다.

지역 융화에 대한 질문에는 귀농가구의 74.7%, 귀촌가구의 56.1%가 "좋다"고 응답했습니다.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지 않다는 비율은 귀농가구 1.4%, 귀촌가구 1.5%로, 이들은 선입견과 텃세, 생활방식의 충돌, 마을 공동시설 이용 문제 등을 불화의 이유로 들었습니다.

확충이 필요한 공공서비스로는 문화·체육 서비스라는 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취약계층 일자리, 노인돌봄 서비스, 교통 서비스 등이 있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