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외국인 주부, 대책은 걸음마 _포커 핸드 찾기_krvip

급증하는 외국인 주부, 대책은 걸음마 _포커 런 미국_krvip

외국인 주부들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농촌과 어촌지역에서만 간간이 보였던 외국인 주부들이 이제는 도시지역에서도 자주 눈에 띌 만큼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인 주부들이 대한민국의 평범한 주부처럼 똑같이 누릴 수 있는 행복추구권은 여전히 '그림의 떡'이다. 우리 사회의 외국인 주부를 위한 대책도 겨우 걸음마 단계인 실정이다. 외국인 주부들은 한결같이 이땅에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대한민국의 평범한 주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기를 바라고 있다. 23일 법무부 마산출입국관리사무소에 따르면, 김해.양산(부산출입국관리사무소 소속)을 제외한 도내 18개 시.군에 사는 외국인 주부는 지난해 말 현재 2천42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도가 지난해 4월말 처음으로 외국인 주부 현황을 파악했던 994명(김해.양산까지 포함)에 비하면 8개월 만에 2배 이상 급증하는 등 가히 폭발적 증가세다. 국적별로는 중국이 1천54명(43.4%)로 가장 많고 베트남 524명(21.6%), 일본 389명(16%), 필리핀 171명(7.1%),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러시아, 기타 289명(11.9%) 순이다. 이들 외국인 주부는 주로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국제결혼 중매를 통해 도내에서 살고 있지만 문화적 차이와 의사소통 곤란, 자녀양육 어려움 등 3중고를 겪고 있다. 함안에 사는 주부 J(25)씨는 "피부색이 다른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이상한 눈빛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너무 힘들고 남편에도 항상 미안하고 부담스럽다"며 "그냥 한국에 사는 평범한 주부처럼 바라보고 이해해 줬으면 좋겠다"며 어려움을 털어놨다. 한국사회가 외국인 주부에 대해 얼마나 색안경을 끼고 있는지를 증명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주부 S(31)씨는 "아이를 낳기 전에도 피부색 때문에 너무 걱정을 많이 해 심한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시달렸다"며 "주변 아이들이 외국인 엄마라고 놀릴까봐 학교에 한번도 못 갔다"며 한국에서의 외국인 주부의 삶이 얼마나 힘겨운지를 대변했다. 일부에서는 외국인 처녀들을 마치 1천만~2천만원을 들여 사왔다는 잘못된 생각을 갖고 결혼한 뒤 술주정과 심한 폭력을 행사하거나 심지어 버려지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외국인 주부들의 인권문제도 심각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외국인 주부들이 한국의 삶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이를 위한 실질적 지원책이나 관심은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 뒤늦게 심각성을 인식한 도는 최근 농촌 노총각들의 국제결혼을 돕기 위해 올해부터 시범적으로 40명을 선발해 600만원씩의 결혼자금을 지원키로 하고 도내 거주하는 외국인 주부들의 적응을 돕기 위해 한글과 전통문화.예절교육을 실시키로 했다. 산청군은 외국인 주부들의 한글공부를 위해 54명의 한글교육 자원봉사자를 모집해 직접 농촌지역으로 찾아가 한글교육장을 열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외국인 주부들에게 시급히 필요한 것은 조속한 한글교육. 외국인 주부들은 혼인사실을 남편의 호적에 기록한 뒤 2년 이상 국내에 거주하고 법무부에서 실시하는 시험을 치러야 국적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 외국인 주부들을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해 시험에 합격하고 국적을 취득한 이들은 손으로 꼽을 정도다. 도내 시.군 지자체에서 외국인 주부들을 위한 예산을 편성해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는 곳도 드물다. 그만큼 지자체 스스로 외국인 주부에 대해서는 인색하기 짝이 없다. 최근 정부에서도 뒤늦게 여성가족부가 나서서 전국 21개소에 '결혼이민자 가족지원센터'를 설치키로 하고 실태와 수요조사에 나서고 있어 좀더 실질적인 지원책과 제도마련이 요구된다. 김해여성복지회관 이주여성문화학교 하선영 교장은 "외국인 주부들이 자신들의 취미와 특기를 발산할 수 있는 공간과 한국땅에 적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활성화돼야 한다"며 "이 땅을 지키는 당당하고 행복한 여성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