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진압, 다른 방법 없었나 _재활용으로 돈을 벌다_krvip

강제 진압, 다른 방법 없었나 _회계_krvip

<앵커 멘트> 그럼 여기까지 오게 된 평택 미군기지 이전사업.. 어떻게 진행됐는지 박일중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1987년 노태우 당시 민정당 대통령 후보가 대선 공약으로 내세우며 거론되기 시작한 용산 기지 이전 문제. 이전 부지와 비용 문제로 협상과 결렬을 반복하던 양국은 지난 2004년 7월에야 협상을 마무리합니다. 그리고 바로 한달 뒤 평택 일대 349만평이 이전 부지로 확정됐습니다. <인터뷰> 홍성익 (미군기지 이전 추진단 팀장 [2004년 8월]) : “349만평이라는 것은 10차 회의 때 결정됐지만 위치가 이렇게 나눠진다는 것은 처음 발표됩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토지보상을 위해 마련된 평택지원 특별법이 형식적이라며 공청회를 무산시킵니다. <인터뷰> 노흥성 (평택대학교 부총장 [2004년 8월 31일]) : “보상차원에서 경제활성화를 하고 있지만 사실상 내용이 굉장히 빈약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매일밤 열리기 시작한 촛불집회. 이후 주민과 정부간의 공식적인 대화는 사실상 중단됩니다. 대화가 중단된 상태에서 지난해 6월에는 토지보상이 시작되지만 반대 시위는 한층 격렬해집니다. 이후 정부는 추가 보상안을 마련하지만 협상은 원만히 진행되지 못했고, 주민들은 올해 초, 주민등록증까지 불태우기에 이릅니다. <인터뷰> 주민 : “정부는 자기 나라 국민들의 집과 땅을 빼앗아 미국에 조공으로 바치고 있다. 대한민국 국민이기를 거부한다.” 그리고 미군기지 이전협정 헌법소원이 헌법재판소에서 각하되고, 기지 이전 일정이 다가오면서 양측의 대립은 더욱 격해집니다. 이후 국방부가 주최하려던 이주 설명회 마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고 정부는 어제, 행정 대집행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인터뷰>윤광웅(국방장관/어제) : "우리 군은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지역주민들과 직접적인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반의 조치를 취할것이며 토지조성을 위한 주민 지원 의무만을 수행하겠습니다." 내가 일궈 온 내 땅을 내놓을 수 없다는 주민, 그리고 국책사업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정부. 접점이 보이지 않으면서 결국 오늘 강제력까지 동원됐습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