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우리금융발 지각변동 예고_인쇄용 알파 및 베토 미니북_krvip

금융권, 우리금융발 지각변동 예고_항구 승리_krvip

금융권에 대대적인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다. 지난 18일 진동수 금융위원장이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합병을 통한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 가능성을 언급한 데 따른 것이다. 이는 정부가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는 우리금융의 지배지분 매각 보다는 민영화에 속도를 낼 수 있는 다른 금융지주회사의 합병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우리금융의 합병 대상으로 KB금융지주가 유력하게 부상하고 있다. 우리금융을 둘러싼 여러 가지 민영화 방안 가운데 정부의 금융회사 대형화 정책기조에 들어맞는 상대는 KB금융뿐이라는 것이다. KB금융의 자산규모는 316조원, 우리금융은 318조원 수준이다. 두 회사가 주식 교환 방식으로 합병할 경우 세계 50위권에 근접하게 되고, 자산규모상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대형 금융회사로 거듭날 수 있게 된다는 설명이다. 당초 우리금융의 합병 대상으로 유력하게 거론됐던 하나금융지주의 경우엔 자산이 169조원으로 KB금융의 절반 수준이라는 점이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하나금융은 우리금융과 합병한다고 하더라도 국제적 경쟁력을 갖출 만큼 몸집을 키울 수 없다는 지적이 있다"며 "그러나 `하나금융+KB금융+우리금융' 식의 합병이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는 없다"고 말했다. 금융권 일각에선 산은금융지주도 우리금융을 둘러싼 합병 시나리오의 공동 주연 후보로 분류하고 있다. 민영화를 추진 중인 산은지주가 역시 민영화 대상인 우리금융과 1대1로 합병하는 것은 모양새가 좋지 않지만, 우리금융과 타 금융회사가 우선 합병하고서 산은지주와 추가 합병하는 방안은 가능하다는 관측이다. 다양한 합병 시나리오가 제기되는 가운데 우리금융의 민영화 작업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최근 예금보험공사가 16%의 우리금융 소수지분 가운데 7% 내외에 대한 추가 블록세일(특정 투자자에게 일정 지분을 파는 방식)을 추진 중인 가운데 우리금융은 블록세일 이후 남게 되는 9%의 지분에 대한 자사주 매입 가능성을 타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수 지분을 처리하기 위해 여러 차례 블록세일을 실시할 경우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자사주 매입을 통해 소수 지분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자는 취지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자사주 매입은 민영화 방식과 상관없이 민영화를 촉진하고, 민영화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잠재 매물인 외환은행도 금융권의 지각변동에 중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일부 시중은행이 외환은행 인수에 관심을 두고 있는 가운데 민영화 대상인 산업은행이나 기업은행이 외환은행과 합병하는 시나리오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국책은행이 외국계 펀드로부터 매각 당시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외환은행을 되살 경우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6개월 내 외환은행을 매각하겠다는 미국의 사모펀드 론스타의 방침과는 달리 인수자를 찾는 게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국내 금융사가 외환은행을 인수하기 보다는 과거 외환은행 인수 계약을 맺었다가 포기한 HSBC은행 등 외국계 자본이 인수자로 나설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